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의보수
- 멤버변수
- random()
- 멤버변수의초기화
- random클래스
- 클래스
- JAVA프로그래밍
- 멤버필드
- new연산자
- 멤버메소드
- 변수의초기화
- static
- 난수발생
- 난수
- 2진법음수
- 전역변수
- 객체지향언어
- 2진법음수표현
- 클래스멤버
- Math.random()
- 자바프로그래밍
- 2진법의음수표현
- 자바
- java
- 컴퓨터구조
- 지역변수
- 2의보수
- 부호절댓값
- 의사난수
- 객체지향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2)
주인장의 프로그래밍 개발 공부방
이번 시간에는 지난 번에 잠깐 만났던 1차원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자. 1차원 배열이라고 해서 특별한 것이 아니고 우리가 배웠던 배열의 기본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구조를 이해하는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다만 여기에서는 1차원 배열을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목표 : 1차원 배열을 생성하고 자유롭게 1차원 배열을 활용할 수 있다. 1. 1차원 배열 선언 방법 우리가 배열을 처음 배울 때 이미 알아봤지만 복습 차원에서 다시 한 번 알아보자. 1차원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시1) int[] intArray = new int[5]; 자바에서는 배열 타입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를 표기하는 방법은 배열에 들어가는 값들의 타입 뒤에 [ ]를 붙여주면 된다. 위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dJ3K/btqxJyd7KRb/alW0Y1lskScaZj2KFLz1v0/img.png)
지난 시간에는 배열이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와 일반 변수와 배열의 차이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다. 이번 시간에는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과 선언했을 때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표 : 배열을 선언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 수 있고 배열을 선언했을 때 어떤 구조가 되는지 알 수 있다. 1. 배열의 선언방법 먼저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로 배열을 선언한 변수는 참조 변수이기 때문에 값 자체가 아닌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길 바란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배열을 선언해보기에 앞서 다시 변수를 불러오려고 한다. 계속해서 변수를 끌어들이는 이유는 어찌되었든 변수에서 확장된 것이기 때문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그러는 것이다. int타입의 변수를 하나 선언해보겠다. int i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NgEX/btqxLWdPjPJ/QR1gjiNeKme7s7blkvMz9K/img.png)
이제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의 끝에 다다르고 있다. 이번에 배우는 배열까지 배운다면 자바라는 언어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다. 즉,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들이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기반이 되고 어디에서든 사용된다는 점을 잊지 않길 바란다. 이번 시간에는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표 : 배열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고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1. 배열이 왜 등장하게 됨? 우리가 맨 처음에 배웠던 변수의 기억을 다시 소환해보자. 뜬금없이 배열을 공부하는데 무슨 변수를 생각하라니 아이러니하겠지만 배열이라는 녀석은 변수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녀석이 되겠다. 일단 변수에 대해서 다시 상기시켜보자. 변수란 어떠한 하나의 값을 저장하..
이제 반복문의 끝판왕이자 길고 길었던 반복문을 끝낼 때가 왔다. 이번 시간에는 반복문 안에 또 다른 반복문을 사용하는 중첩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표 : 중첩 반복문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중첩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 1. 중첩 반복문이란? 중첩 반복문은 우리가 지금까지 공부했던 반복문 안에 새로운 반복문이 들어가 있는 녀석을 말한다. 이전에 조건문을 공부할 적에도 중첩 조건문이라는 것도 있었던 것처럼 반복문도 중첩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중첩의 횟수도 제한이 없다. (하지만 조건문과는 다르게 반복문에는 특이한 개념이 따라오기 때문에 중첩 횟수가 굉장히 중요하다. 그 부분은 나중에 다시 알아볼 기회가 있으니 이번 시간에는 중첩 횟수에 제한이 없다만 알고 있자.) 그리고 어떠..
반복문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do-while문이다. do-while문은 while문과 거의 흡사한 녀석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목표 : do-while문의 구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1. do-while문? do-while문은 while문에서 파생된 반복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녀석이 등장한 계기는 바로 반복문이 해당 조건에 만족할 때만 실행되는 것을 어떠한 상황이라도 무조건 반복문을 한 번은 실행시키기 위해서 등장했다. 어떤 경우에 그렇게 사용하는지는 아직 자세히 이해하진 못하겠지만 일단 do-while문이 이런 동작을 하는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길 바란다. do-while문 역시 조건식이 필요하고 반복문과 동일하게 구현부가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
이번에는 반복문의 2인자인 while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보통 while문은 무한루프를 구현하는데 많이 사용되는데 어떤 경우인지 제대로 살펴보도록 하자. 목표 : while문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제대로 이해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1. while문? 우리는 이전에 반복문에서 가장 대표적인 녀석인 for문에 대해서 알아봤다. 반복문에는 for문 뿐만 아니라 while문, do-while문이 있다고 했는데 여기에서 while문은 같은 반복문이지만 사용하는 형태와 경우가 for문과는 많이 다르다. 3개의 식을 지정해야 하는 for문과는 다르게 while문은 조건식 또는 조건식의 결과만 가지고 동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for문보다 쉬워 보일 수 있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다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vdUP/btqwv71qWpJ/iGkYNzWFxR3dIkiD912pW0/img.png)
우리가 앞서 조건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는데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바로 중첩으로 조건문을 사용하는 것이다. 목표 : 중첩으로 조건문을 사용할 수 있다. 1. 중첩 조건문으로 사용 이미 이전에 만난 적이 있었다. if문을 알아볼 적에 if문의 응용_2라고 하는 부분이었는데 if문 안에 또 다른 if문을 넣어서 작성하는 것이었다. 그 때의 예시를 다시 들고와서 알아보자. 예시1)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score = 0; score = sc.nextInt(); if (score >= 90 && score = 97) { System.out.println("A+입니다."); } else if (score
반복문의 대표주자인 for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이제는 조금은 머리를 써야하는 내용이 찾아왔다. for문까지 배운다면 어느정도는 있어보이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표 : for문의 정의와 구조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1. for문이란? 반복문에는 3가지가 존재한다고 했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for문이라고 했는데 for문은 어떤 녀석인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앞서 우리가 잠시 알아봤지만 for문은 반복문의 종류 중 하나이다. 반복문이라면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명령어를 뜻하는데 for문은 그 중에서도 반복문의 대표라고 할 수 있다. for문은 조금은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조건이 3개씩이나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하..
오늘은 지난 번 charAt()에 이어서 또다른 변환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이번에도 String타입을 이용해 다른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1. parseInt()란? 이전에 봤던 charAt()은 String타입의 문자열에서 우리가 원하는 단어만 뽑아와서 char타입으로 변환시켜주는 명령어였다. 이번에는 parseInt()라는 것인데 당연히 기능도 다르고 사용법도 다르다. 하지만 String타입을 변환시키는데 있어서 많이 쓰이는 녀석이니 잘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parseInt()의 기능은 String타입의 숫자를 int타입으로 변환해주는 녀석이다. 이게 왜 필요한가 궁금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자면 이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시1) String number1 = new String("12..
이번에 알아볼 charAt()이라는 녀석은 이전에 Scanner에 대해서 알아볼 적에 잠시 등장했던 녀석이다. 오늘은 이 녀석이 도대체 뭐하는 녀석이며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1. charAt()이란? 이전에 Scanner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 그 부분에서 조금 특별한 경우가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바로 char타입으로는 입력을 받을 수 없고 String타입으로 입력받는 것이 2개나 존재한다는 점이다. 프로그래밍 부분이나 논리적이 아니라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일반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한다고 가정하면 문자 딱 한 자만 입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 것이다. 일반적이라면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을 것이기 때문에 굳이 한 글자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넣기 보..
무사히 조건문을 이해하고 넘어왔다면 이제는 반복문을 알아볼 차례다. 반복문은 또 무엇일까? 목표 : 반복문의 뜻과 종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류할 수 있다. 1. 반복문이란? 프로그래밍에는 반복문이라는 것도 존재하는데 이 녀석도 조건문과 더불어 꽤나 중요하고 자주 쓰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그렇다면 반복문이라는 건 무엇일까? 반복문이라는 말 뜻을 그대로 풀이하면 말그대로 반복하는 명령어이다. 무언가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반복문에 해당하는 { } 안의 내용이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즉, 똑같은 행동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똑같은 내용을 계속해서 출력해야하거나 같은 동작을 계속 반복해야할 때 이 반복문이라는 것을 사용해서 코드의 ..
지난 번에는 조건문의 하나인 if문에 대해서 알아봤고 사용하는 방법과 응용에 대해서 알아봤었다. 이번에는 또 다른 조건문인 switch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목표 : switch문을 정확하게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switch문은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한다. 1. switch문의 구조 우리가 앞서 봤었던 if문과는 조금 구조가 다르게 되어 있다. if문은 if(조건식) { 구현부; } else if(조건식) { 구현부; } else { 구현부; } 와 같은 구조였다면 switch문은 switch(값) { case 값1: 구현부; break; case 값2: 구현부; break; default: 구현부; break; } 와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 if문과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
이전 시간에는 자바에서 존재하는 2개의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봤다. 바로 if문과 switch문인데 조건문이 뭐하는 녀석인지와 if문과 switch문의 구조를 간단하게 알아봤었다. 하지만 단순히 이 녀석들이 뭐하는 녀석인지 어떻게 생겼는지만 알아서는 당최 써먹을 수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 시간부터는 조건문을 사용하는 방법과 대표적인 예시들을 보면서 어느 상황에서 쓰면 좋을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목표 : if문을 정확하게 사용하고 어떤 상황에서 써야하는지, if문은 어떻게 동작하는지 완벽하게 이해한다. 1. if문의 구조 먼저 if문을 써보기 전에 앞서 알아봤었던 if문의 구조를 다시 한 번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if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시) if(조건식) { 구현부..
이번 시간부터는 새로운 지식에 접근하려고 한다. 앞서 알아봤던 변수와 연산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니 만약 변수와 연산자에 대한 내용이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변수와 연산자 부분을 읽어보길 바란다. 오늘부터는 조건문이란 녀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표 : 조건문의 종류와 조건문의 정의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1. 조건문이란? 조금은 생소한 단어일수도 있다. 조건문이란게 무슨 말일까? 말을 그대로 풀어보자면 어떠한 조건이 있다면 이 조건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지는 명령어를 말하는 것이다. 말이 조금 이해하기 힘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조금만 더 쉽게 풀어보자면 조건의 결과가 예/아니오로 나타난다면 결과가 "예"일 때는 동작을 할 것이고 "아니오"일 때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지난 시간에 입력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었다. 그런데 이 녀석을 부르고 문을 닫는 방법만 알아봤지 실제로 코드 안에서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선 알아보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사용하는 방법과 동시에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Scanner 사용 방법 기초 먼저 Scanner를 사용하기 위해선 Scanner를 불러와야한다는 건 알고 있을 것이다. 한 번 불러와보자. 예시)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c.close(); 이렇게 불러오면 우리는 Scanner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한 것이다. 무조건 sc.close();를 써주고 그 사이에 빈 공간에 우리가 원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자. 그렇다면 단순히 Scanner를 불러온 것만으로 끝..